전체 글 528

[지리산 화대종주] 마음속에 세상 있다

■ 언 제 : 2012. 10. 19 ~ 21 (2박 3일) ■ 어 디 를 : 지리산 화대종주 ■ 누 가 : 고집통 홀로 ■ 날 씨 : 아주 맑음 ■ 산행 여정 : 거제→통영→진주→하동→화엄사→노고단→연하천대피소(1박)→ 벽소령→세석→장터목대피소(2박)→천왕봉→치밭목→새재마을→대원사→진주→거제 ■ 산행 시간 : 21시간 54분 1일차 화엄사주차장(10:25)→연하천대피소(17:52) 7시간 27분 2일차 연하천대피소(7:30)→장터목대피소(16:03) 7시간 33분 3일차 장터목대피소(4:49)→대원사주차장(12:45) 6시간 54분 ■ 산행 거리 : 약 49.3 Km 1일차 화엄사주차장→노고단→연하천대피소 (17.5 Km) 2일차 연하천대피소→벽소령→세석→장터목대피소 (13.3 Km) 3일차 장터목대피..

[거제] 한여름 낮의 노자산 – 노자산 [565m]

□ 언 제 : 2012. 10. 13 (당일) □ 어 디 를 : 노자산 (565m) □ 누 가 : 고집통 홀로 □ 날 씨 : 맑음 □ 산 행 여 정 : 학동 내심우물→뫼바위→마늘바위→전망대→노자산→혜양사 □ 산 행 시 간 : 2시간 47분 학동 내심우물(8:13)→노자산(9:45)→혜양사(10:35)→부춘마을(11:00) □ 산 행 거 리 : 약 6.8Km 태풍 산바가 부숴버린 소매물도 선착장 복구가 자꾸 늦어지는 이유가 관광업 종사자와 어업 하는 주민들간의 대립 때문이랍니다. 계속 그러시라 하십시오. 우리 간부님들 워크숍 장소를 소매물도에서 학동으로 바꿔버렸습니다. 간부님들! 참으로 어울릴 줄 모르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저녁밥 먹고 훌라로 날밤 새고 아침밥 먹고 집으로 가버렸습니다. 그럴듯한 계획 속..

[호남정맥 - 19] 다음 길이 걱정되긴 처음이다

◈ 언 제 : 2012. 10. 6 (당일) ◈ 어 디 를 : 호남정맥 19구간 (송치 ~ 새재) – 갓꼬리봉, 형제봉 ◈ 누 가 : 후종(감자바우), 종근(고고), 만수(산타나) 그리고 나(고집통) ◈ 날 씨 : 흐렸다 맑음 ◈ 정맥 산행시간 : 220시간 03분 (19구간 : 9시간 54분) 21일차 송치 (6:03) → 새재 (15:57) 9시간 54분, 접근거리 : 40분 ◈ 정맥 산행거리 : 388.2 Km (19구간 : 18.8 Km), 접근거리 : 새재 → 성불사 2.0 Km ◈ 총 산행거리 : 송치→농암산→죽청재→갈매봉→마당재→갓꼬리봉→미사치→깃대봉→월출재→형제봉→새재→성불사 (약 20.8 Km) 광양의 성불사 앞마당에 주차하고 보니 호남정맥길 이동거리와 시간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러고..

[호남정맥 - 18] 태풍 산바의 횡포를 당하다

◈ 언 제 : 2012. 9. 22 (당일) ◈ 어 디 를 : 호남정맥 18구간 (접치 ~ 송치) – 오성산, 바랑산 ◈ 누 가 : 후종(감자바우), 만수(산타나) 그리고 나(고집통) ◈ 날 씨 : 아주 맑음 ◈ 정맥 산행시간 : 210시간 08분 (18구간 : 10시간 55분) 20일차 접치 (5:35) → 송치 (16:30) 10시간 55분 ◈ 정맥 산행거리 : 369.4 Km (18구간 : 18.6 Km) ◈ 총 산행거리 : 접치→오성산→유치산→희아산 삼거리→노고치→문유산 삼거리→바랑산→송치 (약 18.6 Km) 얼마 전 대한민국을 관통해 지나간 태풍 산바의 위력이 엄청났었음을 실감했습니다. 매스컴은 사라와 매미의 위력과 맞먹는 크기라며 야단을 떨었지만 나로써는 그다지 피부로 느끼지 못하고 있다가 ..

[낙동정맥 - 5] 낙동길 열기가 사그라 든다

▣ 언 제 : 2012. 9. 15 (당일) ▣ 어 디 를 : 낙동정맥 5구간(작은삼승령~울치재 당집) – 독경산 ▣ 누 가 : 삼성중공업 산악회원 24명과 고집통 ▣ 날 씨 : 비온 후 갬 ▣ 정맥 산행시간 : 52시간27분(5구간: 6시간 10분) 접근구간: 10분 7일차 아랫삼승령(5:25)→울치재 당집(11:35) 6시간 10분 ▣ 정맥 산행거리 : 125.4Km (5구간: 14.8Km) 7일차: 14.8Km 접근거리: 7일차 당집→양구리 지방도: 1Km ▣ 총 산행거리 : 아랫삼승령→학산봉→독경산→창수령→울치재→당집→양구리(15.8Km) 때는 바야흐로 벌초 시즌이 도래했습니다. 우리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매미 급 크기의 태풍인 「산바」가 남해안을 관통할 것이라는 예보가 있으며 가을비는 하루..

[진주] 달을 품은 달음산 - 월아산 장군봉 [482.4m]

□ 언 제 : 2012. 9. 08 (당일) □ 어 디 를 : 진주 월아산 (장군봉-482.4m, 국사봉-470m) □ 누 가 : 고집통 홀로 □ 날 씨 : 맑음 □ 산행 여정 : 청곡사→장군봉→질매재→국사봉→계양재→청곡사 □ 산행 시간 : 3시간 40분 (지방도 1시간 포함) 청곡사(12:45)→장군봉(13:20)→국사봉(14:20)→계양재→청곡사(16:25) □ 산행 거리 : 약 6Km 매년 이맘때쯤이면 없었던 연례행사가 생겼습니다. 아버지 살아 생전에는 내 몰라라 하고 수수방관한 산소 벌초 이야기입니다. 웽웽거리는 소리만 들어도 오금 저리는 예초기를 운전해야 하고 엉성한 품의 낫질도 해야 합니다. 가끔 벌초하다 벌에 쏘여 사람이 죽었다는 소리를 듣기도 하고 뱀에 물려 응급실에 실려 갔다는 이야기도 ..

[호남정맥 - 17] 사람이 아니므니다

◈ 언 제 : 2012. 8. 25 (당일) ◈ 어 디 를 : 호남정맥 17구간(주랫재~접치) – 고동산, 조계산 ◈ 누 가 : 후종(감자바우), 만수(산타나) 그리고 나(고집통) ◈ 날 씨 : 흐리다 아주 맑음 ◈ 정맥 산행시간 : 199시간 23분(17구간: 12시간 13분) 19일차 주랫재(4:08)→접치(14:26) 10시간 18분 ◈ 정맥 산행거리 : 350.8Km (17구간: 22.2Km) ◈ 총 산행거리 : 주랫재→석거리재→백이산→빈계재→고동치→고동산→장안치→큰굴목재→작은굴목재→조계산 장군봉→접치(약 22.2Km) 요즘 TV속 개콘이 대세라 은근히 일요일 저녁이 기다려집니다. 못생긴 일본 여학생 분장 『갸루상(Girlさん)은 사람이 아니므니다』에 훅 빠져 버렸습니다. 약간 모자란 듯한 학생이..

[낙동정맥 - 4] 주객 구분이 안 된다

□ 언 제 : 2012. 8. 18 ~ 8. 19 (1박 2일) □ 어 디 를 : 낙동정맥 4구간(한티재~작은삼승령) – 왕릉봉, 검마산 □ 누 가 : 삼성중공업 산악회원 34명과 고집통 □ 날 씨 : 8/18 맑음, 8/19 흐린 뒤 맑음 □ 정맥 산행시간 : 52시간 27분(4구간: 13시간 43분) 5일차 한티재(12:15)→검마산휴양림 갈림길(17:35) 5시간 20분 6일차 검마산휴양림 갈림길(6:00)→아랫삼승령(14:23) 8시간 23분 □ 정맥 산행거리 : 110.6Km (4구간: 30.7Km) 5일차: 14.0Km, 6일차: 16.7Km 접근거리: 5일차 검마산휴양림 갈림길→휴양림 매표소→신원리: 4.5Km 6일차 휴양림매표소→검마산휴양림 갈림길 1.5Km, 아랫삼승령→기산리 6.2Km ..

[지리산 천왕봉] 67주년 광복절에도

◈ 언 제 : 2012. 08. 15 (당일) ◈ 어 디 를 : 지리산 천왕봉 ◈ 누 가 : 진호 친구랑 고집통 ◈ 날 씨 : 비 오락가락 ◈ 산 행 시 간 : 약 8시간 ◈ 산 행 코 스 : 중산리 탐방안내소→칼바위 갈림길→유암폭포→장터목산장→천왕봉 →법계사→순두류→중산리 탐방안내소 생뚱맞게 친구 진호에게서 문자가 날아옵니다. 광복절 자기 좀 데리고 놀아 달랍니다. 그렇지 않아도 지리산이나 가볼까 생각 중이었는데 미끼 없는 낚시 바늘을 덜컥 물어주니 나로서는 고마울 따름입니다. 혼자보다는 둘이가 아무래도 움직이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도토리 배낭 짊어지고 나타나는 진호는 아무래도 산 전문가는 아닌듯합니다. 대한민국 최고봉인 지리산에 오르는 사람으로서 천왕봉에 대한 예의가 아님을 이야기 했습니다. 무..

[거제] 가까이 있어 소중한 것들 - 계룡산 [566m]

□ 언 제 : 2012. 8. 12 (당일) □ 어 디 를 : 계룡산(566m) □ 누 가 : 고집통 홀로 □ 날 씨 : 맑음 □ 산 행 여 정 : 현공고→심적사 갈림길→휴양림→전망대→계룡산→샘터→임도→고현성 □ 산 행 시 간 : 2시간 32분 고현공고(12:36)→휴양림(13:16)→계룡산(14:14)→고현성(15:08) □ 산 행 거 리 : 약 7.0Km 가까이 있어 고마움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여럿 있습니다. 가족일겁니다. 일부러 찾아가지 않아도 항상 곁에 있어주기 때문에 그 소중함의 무게를 저울에 올려보지 않습니다. 가족이 있어 무한정 고마운 일인데 마음속에만 담아두고 겉으로 표현하지 못해 마눌님에게 종종 찐빠를 먹기도 합니다. 앞으로 많이 노력하면 되겠지요. 또 있습니다. 내 사는 집 뒤에 2..